빠르면 내년 6월 지하철, 시내버스 환승 할인이 적용되는 통합정기권이 선보인다고 한다.
친구가 좋은 정보를 알려줬다.
2023년부터 지하철 정기권이 나온다는 소식이었다.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기쁜 소식이다.
짧은 기간 동안 계속 증가한 교통비로 월급 중 꽤 많은 금액이 대중교통 사용비로 지출된다.
마침 오늘 교통카드 겸용으로 사용 중인 토스 체크카드로 11월 교통카드 사용비가 자동결제되었다.
나의 11월 교통카드 사용 금액은 74,300원이다.
서울교통공사(Seoul Metro) 홈페이지에서 승차권 안내를 찾아보았다.
정기권
🚈 정기권카드를 구입(판매 가격 2,500원)하여 원하는 종류의 정기권 운임을 충전하여 사용
사용기간 : 30일 이내 60회까지
30일이 경과하였거나 60회를 모두 사용한 경우, 기간이나 횟수가 남아있더라도 사용불가
💳 정기권 종류 및 운임
서울 전용
[운임]
55,000원 균일(교통카드 기본운임 1,250 x 44회)
[사용 구간]
1호선: 도봉산~금천구청, 구로~온수
2호선: 전체
3호선: 지축~오금
4호선: 당고개~남태령
5호선: 방화~마천, 강동~강일
6호선: 전체
7호선: 온수~장암
8호선: 전체
9호선: 전체
경의중앙선: 수색~서울, 가좌~양원
분당선: 청량리~복정
경춘선: 청량리~신내, 광운대
공항철도: 김포공항~서울
우이신설선: 전체
신림선: 전체
김포도시철도: 김포공항
* 서울 전용 사용 구간 외(서울시계외)의 역에서는 승차 불가
서울교통공사에 소개된 정기권 정보에 의하면 나는 약 20,000원 이상의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나의 출퇴근은 지하철을 두 번 갈아타고 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하지만 서울 지하철 정기권은 버스 환승이 되지 않는다.
오직 서울 구간 지하철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나에게는 해당사항이 없는 정기권이다.
뉴스 기사를 찾아보니 빠르면 내년 6월 지하철, 시내버스 환승 할인이 적용되는 통합정기권이 선보인다고 한다.
어찌 됐든 내년 하반기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과연 그때쯤 내가 서울에 있을지 제주에 있을지 모르는 일이다.
2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출퇴근을 하면서 큰 할인이 적용되는 정기권이 있었으면 했다.
아쉽게도 나는 당장 사용은 못하지만 훗날을 기약하며 기록해둔다.
'내 활주로는 제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카툰 Meitu 메이투 보정 앱 (0) | 2022.12.16 |
---|---|
제주항공 스텔라장 아이고 (4) | 2022.12.14 |
오픈월드 게임 (2) | 2022.12.07 |
형이상학자 네빌 고다드 끌어당김의 법칙 (4) | 2022.12.06 |
무의식과 꿈 (4) | 2022.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