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활주로는 제주로

글쓰기가 멈추었다

낮가림 2022. 10. 18. 21:29
반응형


분산해야 했다.






3일 정도 글을 쓰지 못했다.
뉴스에도 나온 카카오 사건으로 반강제적으로 조용히 있어야만 했다.
카톡이 안되네라고 무심히 되뇌었는데 카카오 서비스 중의 하나인 티스토리까지 완전히 멈추어 버릴 줄은 생각도 못했다.
그 순간 머릿속에 든 생각은 구글 애드센스로 돈 벌던 사람들은 타격이 크겠구나 하는 생각이었다.
물론 애드 고시에 매번 낙방하는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지만 말이다.

나는 며칠을 글 쓰는 일에서 해방된 느낌이었다.
와 오늘은 티스토리 글을 안 써도 되네.
남은 시간을 하고 싶은 것을 하며 보냈다.
다음날이 되었고 아직도 티스토리는 정상적인 복구가 되지 않았다.
오늘도 글을 안 써도 된다는 기쁨도 잠시 난 생각에 잠겼다.
카카오라는 거대 플랫폼의 서버 문제로 내가 쓴 글을 보지도 못하다니.
더군다나 티스토리 블로그 마지막 글이 200번째 포스팅이었다.
어쩌면 한 개인의 오랜 기록이 너무나도 쉽게 잠금 당한 기분이었다.

하나의 플랫폼에 모든 것을 몰빵 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알게 됐다.
분산해야 했다.
모든 플랫폼의 한구석에서 똑같은 글들을 쓸 수는 없지만 생각과 기회를 분산해서 나누어야 했다.
한 곳이 일시정지가 되어도 다른 곳에서 나의 활동은 지속되어야 한다.
가장 비슷한 블로그 카테고리는 네이버 블로그가 있다.
네이버 블로그를 시작해야 한다고 몇 번이나 생각했었는데 꼭 해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었다.
네이버에선 어떤 글을 써야 할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솔직히 신이 난다.
글을 안 써도 된다는 상황에서도 신이 났는데 글을 써야 한다는 생각에도 기분이 좋아져 버렸다.